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7

비트코인 세금부과? 얼마를 어떻게 내야할까? 정부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으로 번 돈에 대하여 2022년부터 세금을 부과한다고 하는데 그래서 오늘은 이 가상화폐가 무엇이고, 세금은 어떻게 부과한다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화폐란? 우선 가상화폐란 동전또는 지폐와 같이 실물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상공간에서 전자적 형태로 사용되는 디지털 또는 전자화폐를 말합니다. 이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이라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기존의 거래는 은행등의 중개기관이 거래내역과 같은 모든 정보를 관리했다면, 블록체인기술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거래내역을 분산, 저장합니다. 그렇기에 이 정보를 수정 및 변조가 힘들기때문에 꽤 안전하고 투명한 관리가 가능한 것이지요. 이러한 기술이 있기에 다양한 가상화폐들이 생겨날 수 있었답니다. 가상화폐 과세는 2022년 부터.. 2021. 4. 17.
청약통장, 2만원? 10만원? 얼마를 넣어야 할까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는 요즘. 청약통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많은 사람들이 매월 얼마씩 통장에 입금해야 하는지 많이들 이야기하는데요 오늘은 얼마가 가장 적정한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택청약의 경우 보통 2만 원에서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2만 원을 넣든 50만 원을 넣든 입금하면 1회 차로 인정이 됩니다. 그리고 24개월 이상 유지하면 1순위가 됩니다. 그럼 입금액이 2만 원이든 50만 원이든 같은 1회 차로 인정이 되기 때문에 꽤 많은 사람들이 2만 원씩 납입하시고 계십니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2만 원씩 납입할 것이면, 아예 납입하지 말고 미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합니다. 아니 왜 그럴까요? 2만 원? 10만 원? 이 부.. 2021. 3. 7.
공매도란 무엇인가? 공매도란? 요즘 뉴스를 보면 게임스탑이라 해서 공매도 세력과 개미 세력 간의 싸움이니 하는 이야길 들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개미세력이라은 무엇인지 알겠지만 공매도 세력이란 무엇인지 알기 어렵고, 설명을 들어도 공매도에 대하여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공매도가 무엇인지 이해할수 있도록 그림과 함께 간략하고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ㄱ'은 'A'에게 상품을 빌립니다. 후 'ㄱ'은 'B'에게 100의 가격으로 빌린 상품을 팝니다. 그렇게 되면 'ㄱ'은 빌린 상품으로 100을 벌게 됩니다. 100을 번 'ㄱ'은 삼품의 가격이 떨어지길 기다린 후 가격이 떨어진 금액으로 상품을 삽니다. 상품을 되산 'ㄱ'은 'A'에게 상품을 돌려줍니다. 이렇게되면 100에 팔아 50을 주고 상품을 되샀기에 5.. 2021. 2. 5.
사회초년생, 1년에 천만원 이상 모으는 습관 사회 초년생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월급날만 되면 항상 걱정되는 것이 있지요. 바로 돈 관리입니다. 빠져나가는 돈은 많고, 모은다고 모아도 왜 이리 적은 지... 그래서 오늘은 1년에 천만 원을 목표로 차근차근 모을 수 있는 습관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출 줄이기 결국 중요한 것은 지출을 줄이는 것입니다. 한 달간 사용한 금액을 보시면, 생각보다 쓸데없는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특히 요즘은 구독 서비스 등이 활성화되어 여러 개의 서비스를 가입 후, 보지도 않고 돈만 나가고 있을 수도 있으니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우선 불필요한 지출을 최대한 줄이고 아껴 사용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2. 4개의 통장 예전 '4개의 통장'이란 책이 재테크 관련 도서로 꽤나 큰 영향을 불려 일으켰던 방식입.. 2021. 2. 1.
내가 낸 국민연금 확인하기 국민연금의 경우 월급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기에 얼마나 냈고, 확인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동안 내가 냈던 연금이 얼마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과연 지금까지 내가 낸 연금이 얼마인지 한번 볼까요? 국민연금공단에서 운영하는 내 연금 사이트에 접속한 뒤 재무설계 -> 국민연금 알아보기 -> 가입내역 조회 순으로 들어가시면 지금까지 납부해왔던 보험료 조회와 기간(월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하니 구비해 주세요!) NPS내연금(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자가진단 재무, 건강, 취업, 여가, 대인관계 등 나의 삶의 가치측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csa.nps.or.kr 모바일앱을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도 있답니다. 아래 있는 앱을 다운하시면 된답니다.. 2021. 1. 31.
왜 달러($)를 '불'이라 할까? 100달러? 100불? 둘 다 같은 금액($)인데 왜 누구는 '달러'라 부르고, 누구는 '불'이라 부르는지 궁금해보신 적 없으신가요? 그래서 오늘은 왜 이렇게 달리 불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와 '불' 우선 달러의 통화기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경우 달러($)를 사용하는데, 혹시 눈치채셨나요? 아직 모르시겠다고요?ㅠ 그럼 힌트를 드리자면 한국은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였고, 이 때문에 영어보단 한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익숙했던 것이죠. 그렇기에 달러를 뜻하는 '$'자가 '아니 불(弗)'과 유사하게 생겼고, 때문에 달러를 불이라 불렸었던 겁니다. 그리고 그 명맥(?)이 이어져 지금까지 **달러가 아닌 **불로 말하는 사람들이 계시는 것입니다. 2021. 1. 28.
잠자는 내돈! 휴면예금 찾아보기 9조 5,000억 원. 이 금액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방치된 체 잊힌 예금과 보험금 및 휴면 재산이 무려 앞서 말한 9조 5,000억 인 것입니다. 엄청나지 않나요? 이 가운데 휴면예금 및 적금이 5조억 원, 휴면보험금이 4조 1,000억 원, 증권이 3000억 원, 신탁이 1,000억 원가량이라고 합니다. 5~10년 거래가 없는 은행예금, 그리고 3년 이상 거래가 없는 계좌를 휴면예금이라 합니다. 이 휴면예금이 되면 온라인 거래가 중지되며, 계좌를 금융회사에서 별도로 관리를 하게 됩니다. 때문에 휴면예금으로 분리되게 되면 개인이 확인하기 쉽지 않은 것이죠. 서민금융진흥원은 이를 위해 잠자는 내 돈, 휴면계좌에 돈을 돌려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우선 금융소비자 정보포텔 파인 사이트에 .. 2021.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