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비트코인 세금부과? 얼마를 어떻게 내야할까?

by 마리모 2021. 4. 17.
728x90

 

정부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으로 번 돈에 대하여

2022년부터 세금을 부과한다고 하는데 그래서 오늘은

이 가상화폐가 무엇이고, 세금은 어떻게 부과한다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화폐란?


우선 가상화폐란 동전또는 지폐와 같이 실물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상공간에서 전자적 형태로 사용되는 디지털 또는 전자화폐를 말합니다.

 

기존 거래방식(좌)                                                                                      블록체인방식(우)

이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이라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기존의 거래는 은행등의 중개기관이 거래내역과 같은 모든 정보를 관리했다면,

블록체인기술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거래내역을 분산, 저장합니다.

그렇기에 이 정보를 수정 및 변조가 힘들기때문에 꽤 안전하고 투명한 관리가 가능한 것이지요.

이러한 기술이 있기에 다양한 가상화폐들이 생겨날 수 있었답니다.

 


가상화폐 과세는 2022년 부터


 

정부에서 밝히길. 비트코인를 비롯한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는

2022년 부터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아직 2021년 올해 시세차익을 통하여 걷어드린 금액에 대해선

아직 세금을 내지 않는 비과세입니다.

 

그럼 한가지 의문이 생기네요

올해에 사서 내년('21년) 이후 얻은 시세차익은 어떻게 과세를 할까요?

알기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금년 5천만원에 사서 내년에 2억에 팔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1억 5천의 금액을 벌게된것이지요.

이경우 세금은 2억에 대한 금액을 내는 것이 아니라

2021년 이후 시세차익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는 것입니다.

 

 

만약 2021년 12월 31일의 가상화폐 자산이 1억 5천이였다면,

2022년 1월 1일 이후의 시세차익. 즉 5천만큼의 세금만 내는 것이지요.

728x90

 

 

이외에 경우 2022년 비트코인을 각각 다른시세에 3개 산 경우도 있을겁니다.

첫번째 5천.

두번째 1억.

세번째 1억 5천에 샀다면 총 3억으로 비트코인 3개를 산거니

평단 1억원입니다.

 

만약 이 코인을 이후 개당 2억에 팔았다면 선입선출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5천에 산 첫번째 코인을 2억에 팔았으니 1억 5천에 대한

세금을 내면 됩니다,

 


세금신고는 스스로?


 

많은 분들이 업비트나 빗썸 등을 통하여 가상화폐 투자 및 거래를

하고계실텐데 이러한 업체에서는 세금신고를 대행해 주진 않습니다.

매년 5월 말까지 스스로 국세청에 신고하셔야 합니다.

 

어떤 분들은 내가 얼만큼 벌었는지 국세청에서 어떻게 알겠냐 하시는 분들도 계실껍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2022년부터 거래소가 거래소 이용자들의 가상자산거래명세서를 분기별, 연도별로

국세청에 제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모를수가 없으니 혹시라도 고의로

세금을 납부안하는 일 없길 바랍니다!

 

 

 

오늘은 꽤나 이슈가 되고있는 가상화폐 세금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반응형

댓글